본문 바로가기

내사랑 울보/언론이 본 최성

[이슈&이슈] 최성 고양시장 “평화공원은 지역민 상생·화합 위한 치유의 상징물”

[이슈&이슈] 최성 고양시장 “평화공원은 지역민 상생·화합 위한 치유의 상징물”

“고양 금정굴 사건 희생자들을 위한 조치는 과거사정리위원회 권고이자 제 공약사항입니다.”

최성 경기도 고양시장은 30일 ‘고양시 한국전쟁 희생자를 위한 고양역사평화공원 조성 및 지원 등에 관한 조례안’을 최근 시장이 발의한 것에 대해 “유가족과 시민사회단체 인사들이 관련 조례를 하루속히 제정할 것을 강력히 촉구해 왔다.”고 밝혔다.

▲ 최성 고양시장

이 조례안은 지난해부터 고양시의회에서 다섯 차례에 걸쳐 계류되거나 부결되는 등 논란과 진통이 계속되고 있다. 다음은 최 시장과의 일문일답.

→조례안 제정에 대해 보수단체와 일부 주민들의 반발이 크다.

-그분들의 심정도 충분히 이해한다. 하지만 언제까지 이 문제를 덮어 두고 가겠나. 특히 억울하게 숨진 희생자들에 대해 정치적으로 이용하거나 유가족들에게 마음의 상처를 더 줘서는 안 된다.

→군·경가족이 먼저 학살당했는데 좌익과 부역 혐의 피해자만 위한다는 지적이 있다.

-고양역사평화공원 조성은 이념과 관계없이 한국전쟁 때 국가권력에 희생된 민간인 희생자의 영혼을 위한 것이다. 고양시 지역사회는 물론 한국사회의 민족적 아픔을 치유하고 화해 상생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. 역사평화공원위원회 구성원도 수혜 예정자와 이해관계가 있는 위원들을 배제하도록 했다.

→전국에 유사한 장소가 많다. 기초지자체가 평화교육관까지 만들 필요가 있나.

-전후 세대들에게 평화와 올바른 민주시민교육을 실시해야 한다. 평화공원은 지역민의 상생과 화합을 위한 역사적인 치유의 상징물로 조성해 후손들에게도 중요한 메시지를 전해줄 수 있는 소중한 자산을 만들자는 것이다. 구체적인 방침은 범시민적 참여로 구성되는 역사평화공원위에서 결정한다. 국가가 먼저 나서서 문제를 해결하고 지원해 주려는 노력이 중요하지만, 아직 미흡하게 보여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.

→범정부 차원에서 대책을 강구하는 등 움직임이 있어 더 기다려 보자는 의견이 있다.

-행정안전부에 확인한 결과 중앙정부에서의 위령 시설 설치를 위한 세부추진방안 연구용역은 완료했으나 결과는 참고사항이라며 공개하지 않고 있다. 구체적인 추진계획은 아직 아무것도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. 내년도 예산 편성도 확정된 사항은 없다고 한다.

→예산 및 조달 방안은.

-지난해 11월 실시한 타당성 조사 용역에 의하면 금정굴 지역에 조성 시 소요예산액이 88억원 정도 된다. 그러나 이것은 용역 차원의 제안일 뿐이다. 국비와 도비 지원은 반드시 필요하다. 최근 의회 차원의 태스크포스도 꾸려졌고, 새 정부도 출범을 앞둔 만큼 내년에는 상생적인 합의안이 도출되기를 희망한다.

글 사진 한상봉 기자 hsb@seoul.co.kr